본문 바로가기
방송 드라마 연예/당구 및 당구선수

당구점수기준 기본 개념과 측정방법

by 김개똥의 성공스토리 2022. 3. 7.

당구에는 초보와 고수가 얼마든지 재미있게 당구를 즐길 수 있도록 점수가 존재합니다. 이런 당구 점수는 일반적으로 동네 당구장 사장님이나 고수분들이 정해 주기도 합니다.

당구점수기준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확실한 기준을 정하는데에는 에버리지가 필요합니다. 즉, 평균 득점률이죠. 이외에도 당구 게임 시간으로도 당구점수기준을 세울 수 있습니다.

자세한 당구 점수 기준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당구점수기준 기본 개념

 

  • 당구 점수란

보통 일반적인 당구 점수는 30부터 시작하여 80, 100, 120, 150, 200, 250, 300 이렇게 올라가게 됩니다.

1000점이후로는 점수의 개념이 없으며 명예 10,000점 20,000점이라는 점수가 존재하기는 합니다. 보통 300점 이상부터는 고수의 영역으로 불리기 시작하는데

이 점수는 30이라면 알 3개, 300이라면 알 30개를 놓고 치는 점수입니다.

국제식대대가 있는 구장이라면 100, 200 이런 점수를 사용하지 않으며 15점 부터 1점씩 올라가 40점, 현재는 50점까지도 점수가 있습니다.

시간 측정법, 에버리지 측정법 두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시간으로 계산하는 당구 점수 기준

본인의 당구 점수가 150점이라고 하면 알판에 15개의 알을 놓고 시작하며,

한 게임당 4구의 경우 30분 +-5분 정도를 기준으로 잡습니다.

3구의 경우에는 40분~50분 정도의 기준을 잡습니다.

시간 계산의 경우에는 굉장히 애매한 면이 없지않아 있습니다.

컨디션에 따라 굉장히 변동성이 심하며, 치는 상대방에 따라도 시간이 크게 달라질 수 있씁니다.

다만 몇달간의 평균 시간을 측정하여야 할것이며, 고수분들의 피드백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150, 200, 250, 300 등 해당 점수가 되면서 이해도가 올라가고 공을 대하는 자세가 달라지므로 고수들의 피드백이 필요할 것입니다.

 

 

  • 에버리지로 측정하는 방법

1대 1 경기로 총 7게임을 진행하며 에버리지가 제일 높게 나오는 게임과 제일 낮은 에버리지 게임을 제외하고 나머지 5게임의 에버리지를 다시 평균을 내어봅니다.

3구의 경우에는 꾸준하게 에버리지를 측정하여 점수를 정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019 당구 주요 보드별 에버리지 측정
2020년 당구 주요보드판 에버리지 측정표
당구 3구 에버리지 측정표

 

요즘에는 에버리지 측정 어플도 있으니 보드판이 없는 당구장을 이용하는 분이라면 에버리지 측정 어플을 깔아서 사용해보심을 추천 합니다.

댓글


// Open internal links in same tab